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EPS, BPS는 연봉과 재산과 같다.

 주식 용어를 보다 보면, '바이오주는 PER이 너무 높다', '한국전력은 PBR이 너무 낮다' 등 PER, PBR이라는 용어는 자주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PER, PBR에 대한 건 다른 블로그나 글에서 많이 나오므로 참고하면 될 것 같다.

PER, PBR은 Full name으로 적어보자면, Price Earning Ratio, 그리고 PBR은 Price Bookvalue Ratio로 쓰는데, 공식을 보면 'PER = 주가/EPS', 'PBR = 주가/BPS'라고 적혀는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EPS와 BPS가 어떤 것인지 감이 잘 와 닿지가 않는다. EPS를 또 Fullname으로 보면 Earning Per Share, BPS는 Bookvalue Per Share라고 네이버 사전에는 나오는데, 당최 무슨 뜻인지 감이 잘 안 온다. 그리고 그 뜻을 봐도, 대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아리송할 수 있다.

 

너무 딱딱한 경제용어보다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이해할 수 있는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자.

 

<EPS>

 Share는 주식이고, Earning은 벌어들인 수익이다. 따라서, EPS는 한 회사가 한 해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즉, '강인하게'라는 회사의 주식이 100개 발생되었다고 할 때, 이 회사가 1년에 100억을 순이익으로 벌었다고 가정하면, EPS는 100억/100개 로 '1억 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EPS는 회사의 순이익과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회사에 대해 정의를 내리면, 약간 감이 와닿지 않을 수 있다. 간단한 예시로 좀 이해해보자.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직장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수익을 EPS라고 기억하면 이해가 쉽다. 이 때, 직장인이 벌어들인 수익이라 함은, 회사의 세후 연봉뿐 아니라, 열심히 예금과 적금으로 불린 이자, 만약 본인이 갖고 있는 부동산에서 월세를 받았다면 그 월세도 수익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근마켓이나 중고나라에 몇 개의 물건을 거래해서 남긴 차익도 수익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대부분의 일반적인 직장인이라면, 연봉 외에 나머지 월세나 예적금으로 불린 이자소득 등은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실상 EPS를 기억할 때는, 'EPS는 직장인으로 따지면 세후연봉이다'라고 기억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BPS>

 Bookvalue Per Share, 즉 BPS는 한 회사가 보유한 순자산을 의미한다. 순자산이라 함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전한 내 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때, BPS는 토지, 건물, 재고, 현금성 자산 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BPS는 회사의 순자산과 비례한다.

 그렇다면, BPS는 일반적인 예로 바꿔보면, 직장인이 열심히 돈을 모아서 갖고있는 현재 순자산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내가 살고있는 집값(자가라면 집의 시세, 전세로 거주 중이라면 전세보증금, 월세로 거주 중이라면 월세 보증금), 예금과 적금통장에 넣어둔 돈, 주식계좌에 넣어둔 돈, 자동차, 가방, 시계 등을 모두 BPS라고 이해하면 쉽다. BPS가 높은 회사일수록, 순자산이 많은 회사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한 가지 특징은, BPS는 매년 증가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자동차도 사서 차 키 꼽는 순간 차값 30% 떨어진다고 하는 것처럼, 시간이 가면서 감가상각에 의해 순자산은 점점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어쨌든, BPS는 그런 감가상각을 다 고려하고서 현재 가치로 따졌을 때 남은 순자산 값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EPS와 BPS는 회사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 중 하나다. 하지만, EPS가 높은 회사가 돈 잘버는 회사라는 뜻은 아니다. 왜냐하면, 아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EPS는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라 나눈 값인데, 발행된 주식의 숫자가 회사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통은 주가(Price)를 EPS로 나누어서 비교하는 PER로 회사대 회사를 비교하는 것이 올바른 잣대일 것이다. BPS도 마찬가지이다. 

 

 "정리하자면, EPS는 회사의 세후연봉, 그리고 BPS 회사의 순자산을 뜻한다 "

 

 

자 그렇다면, PER, PBR에 대한 설명은 아랫 글을 참조하자

2020/08/19 - [재테크/주식] - 사실 PER, PBR은 너무나 간단한 것이다.

 

사실 PER, PBR은 너무나 간단한 것이다.

주식 매매를 하다 보면, PER, PBR이라는 단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사전적 정의를 보면, PER은 Price Earning Ratio 로서, 한글로 주가수익비율 이라고 한다. PBR은 Price Bookvalue Ratio 로서, 한글..

baseup.co.kr